경영과학 이론 (현대 관리이론)
경영과학 이론(management science theory)은 관리자가 의사결정을 잘 할 수 있도록 수량적인(quantitative) 자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 관리이론이다. 이 이론은 테일러에 의해 개발된 과학적 관리론을 확장한 현대적 이론이다. 경영과학(Management Science, MS)과 Operations Research(OR)는 동의어로 쓰이며, 양적 관리 이론(quantitative management theory)이라고도 불리며, 최근 이 분야는 MS/OR로 불린다. 경영과학 이론에는 여러 가지 접근방법이 있는데 주로 아래 열거된 내용에 관심을 갖는다.
▸양적 관리(quantitative management) : 이 접근방법은 관리자가 제품이 어느 시기에 얼마만큼 필요한지, 어디에 저장되었는지, 어떻게 하면 재정적으로 투자를 잘 할 수 있는지 돕도록 수학적인 테크닉을 사용한다.
▸OR(Operations Management or Operations Research):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관리자가 생산 시스템을 분석할 수 있게 도와주는 테크닉이다.
▸총체적 질 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 TQM):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입(input), 전환(process), 산출(output)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관리정보 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IS) : 관리자가 의사 결정으로 하기 위해 조직의 내·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경영과학 이론은 거의 50년 동안이나 존속해왔다. 이 이론은 공학적 기술과 수학적인 방법으로 복잡한 군대 문제나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경영과학 이론을 사용하는 사람을 경영과학자라고 부른다." 경영과학 이론은 과학적인 방법과 테크닉을 사용하는데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성격을 갖는다.
▸ 가장 중요한 점은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다. 관리자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평가 기준에 의존한다. 조직의 비용, 수입, 이익 등 가치에 기초를 둔다.
▸수학적 모델에 의존한다.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능한 수학적 공식을 사용한다.
▸컴퓨터에 의존한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컴퓨터를 필요로 한다.
경영과학 이론에 사용되는 방법과 테크닉은 다양하다(예, 모델, 리니어 프로그래밍(linear programming), PERT/CPM, 컴퓨터, 시뮬레이션,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확률, 게임 이론(game theory), 인벤토리 모델(inventory models), 의사결정 이론(decision theory 등). 여기에서는 수학적 모델(mantemathical model), 피트(PERT), 인벤토리 모델(inventory model)만을 간단히 소개하기로 한다.
1) 수학적 모델
수학적 모델(mathematical model)은 실제 시스템이나 프로세스(process)와 관련된 면을 의미한다. 모델의 가치는 시스템이나 프로세스를 잘 대변해 주는 것이다. 정확한 모델은 관리자가 문제가 되는 변수(variables)와 변수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생각하게 해주어 관리자가 중요한 면을 놓치지 않게 하고 나아가 덜 중요한 면에 너무 큰 비중을 주지 않게 해준다. 예를 들면, 회계방정식인 A=L+C는 수학적 모델이다. 이 모델은 자산(assets), 빚(liabilities), 자본(capital) 간의 관계를 단순하게 보여준다. 이 모델은 주어진 시점에서 특정 사업의 재정적 상태를 보여준다.
2) 퍼트
퍼트(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PERT)는 불확실한 상태 하에서 기획과 통제를 하는 데 사용되는 테크닉으로 네트워크(network)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들이 진행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지고 화살표로 연결된다. 활동이나 작업의 완성에 드는 시간을 3회 측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예산에서 다루기로 한다.
3) 인벤토리 모델
인벤토리 모델(inventory model)은 '수량(how much)과 시간(when) 대한 해답을 제공해준다. 비즈니스 조직은 가장 좋은 가격에 물건을 파는 것과 적절한 수량의 물건을 확보해야 한다. 즉 잦은 주문은 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항상 충분한 물량이 있어야 하지만 너무 재고가 많아 비용손실을 주어도 안 된다. 인벤토리 모델은 관리자가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Quantity, EOQ)을 계산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적정 재주문 시점을 알게 도와준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관리] 간호관리학의 이론적 모델 (0) | 2022.07.14 |
---|---|
[간호관리] 체계/상황/카오스 이론 (0) | 2022.07.14 |
[간호관리] 행동주의 관리 이론 (0) | 2022.07.14 |
[간호관리] 고전적 관리이론 (0) | 2022.07.13 |
[간호관리] 간호관리의 개념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