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관리학의 이론적 모델
이론적 모델 또는 이론적 기틀은 이론적 구조 안에서 개념 및 컨스트럭트(construct)가 명확하게 정의되지만, 그들의 관계는 정확하게 서술되지 않는다. 최근에 많은 간호학자가 간호 관리학을 위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장에서는 그 중 가장 개발이 잘 된 아이오아 모델(Iowa Model)을 소개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간호 관리와 간호 행정은 같은 뜻으로 쓰이고, 간호관리자와 간호행정가는 같은 의미로 쓰인다.
1. 아이오아 모델
아이오아 모델은 간호 행정, 연구, 실무 및 교육을 위한 휴리스틱 도구 (heuristic tool)와 지식체 개발을 위한 기틀로써 제시되었다.
간호 관리에 관한 지식은 간호관리자의 조직 내 · 외부에 대한 역할과 책임에서 도출된다. 조직 내에서의 간호관리자의 책임은 다음과 같다.
① 특정 환자 집단에 대한 간호 전달 서비스,
② 조직화한 간호 서비스에 대한 관리,
③ 간호사가 수행되는 환경,
④ 간호 서비스의 질과 비용이다. 또한 간호관리자는 조직 외부에 관해서도 책임감을 갖는다(예, 지역사회와 국가 기관 내의 보건 의료정책 수립에 대한 리더십 역할).
이 모델은 체계(systems) 및 결과(outcomes)인 두 영역(domain)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영역은 환자집단 수준(patient aggregates level), 조직 수준 및 보건 의료체제의 수준인 세 수준(level)으로 구성된다. 두 영역에 포함된 지식은 간호관리자의 역할과 기능에서 도출되었다. 환자 집단은 각각의 영역에서 중심을 이루고, 각각의 영역은 조직에 의해 둘러싸였으며, 조직은 보건 의료체제에 의해 분할되었다.
각각의 수준(환자집단, 조직, 보건 의료체계 등)은 개방체계이기 때문에 각각의 수준 간에 생길 수 있는 상호작용이 있다.
1) 환자집단 수준 -모든 것은 환자 중심(실무) 이 될 때 결과 값이 결정된다.
모델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은 환자 집단이다. 환자집단 수준에서 체계에 포함되는 개념(system concepts)은 환자의 중증도(patient acuity), 간호의 표준(standards of care), 표준화된 간호계획 및 간호 정보체계이다.
환자집단 수준에서 결과에 포함되는 개념(outcome concepts)은 질의 측정(예, 합병증 사례, 재원 기간, 환자 만족, 자원 소비 및 비용)이다. 간호관리자가 주로 사용하는 지식은 주로 임상 실무 지식이다.
2) 조직 수준
간호관리자는 조직 수준에서 간호 서비스의 전달에 중점을 둔다. 조직과 보건의료 체제 수준에서 체계에 포함되는 개념은 구조, 과정, 자원, 통제 및 환경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조직과 보건 의료체계 내에서 요구하는 간호 관리 측면의 서비스이며 동시에 간호 관리학의 지식체계개발에 필요한 요소들이다.
3) 보건 의료체제 수준
보건 의료체제 수준은 간호관리자가 보건의료에 관련된 많은 부분에서 활동하기에 이 모델에서 중요하다(예, 간호계의 대표, 보건 의료정책에 참여, 보건 의료전문 분야에서의 교육 담당,간호부의 관리 등), 보건 의료체제 수준에서 체계 영역에 관한 요소는 조직 수준에서 포함된 요소와 같다(예, 구조, 과정, 자원, 통제 및 환경). 또한 이 수준에서 체계에 포함된 개념은 정책 형성, 경쟁, 법과 규제 및 협력 등이다.
조직 | 보건의료 | ||
성과 | 성과-체계 | 목표달성, 개혁, 성장, 적응 | 의료배분, 의료접근, 평등 |
성과-개인 | 생산성, 업무성과, 창의성, 책임 | 인적자원의 배분 인적자원의 수 개인성과에 대한 규제 |
|
질 | 서비스의 질 | 자격인정 표준준수 환자-대상자 결과 환자-대상자 만족 |
-국가 수준에서의 질병률/이환율 -시스템에 대한 만족 |
업무환경의 질 | 공정, 직원만족, 이직/재직, 갈등 | 임상결과에 대한 국가수준에서의 지표 | |
비용 | 환경 | 인건비, 개발비, 물품비, 이윤 | 보건의료의 전체비용 재정자원에 의한 비용 전문그룹에 의한 의료비용 |
결과에 포함된 요소는 성과, 비용, 질 등이다. 임상 실무 지식에 중점을 둔 간호개념들은 주로 환자 집단에서 사용된다. 조직과 경영에서 온 개념들은 조직 수준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온 개념들은 보건의료 체제 수준에서 사용된다.
아이오아 모델은 2가지 장점을 지니는데
첫째, 체계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이 체계 접근법은지식체 개발을 강화한다.
둘째, 구체적인 지식체 개발을 위해 결과를 사용하였다. 체계와 결과 사이의 관계는 간호 관리의 효과성을 연구하는 데 기여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관리] 기획의 정의와 관련개념 (0) | 2022.07.15 |
---|---|
[간호관리] 간호관리 중재 (0) | 2022.07.14 |
[간호관리] 체계/상황/카오스 이론 (0) | 2022.07.14 |
[간호관리] 경영관리 이론 (0) | 2022.07.14 |
[간호관리] 행동주의 관리 이론 (0) | 2022.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