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가 환자를 위하여 수행하는 간호 중재가 개발되고 출판되었지만 간호사를 위하여 수행하는 간호 관리 중재 (nursing management intervention) 거의 드물다. 연구를 기반으로 한 간호 관리 중재는 간호관리자가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최근에 아이오아 대학에서 개발된 간호 관리 중재를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1. 정의
간호 관리 중재는 '질적인 간호를 수행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 구조 또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간호 관리 중재는 간호사나 조직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병동이나 간호부에서 간접적으로 수행된다. 인정 recognition)', 임상 간호지도자 프로그램(preceptor programs)', 임상 경력관리 프로그램(clinical career ladder)' 등은 간호 관리 중재의 좋은 예이다. 구드와 블레건Good&Blegan"에 의하면, '인정은 간호사의 업무 수행이나 업적을 시인하고 평가하는 수간호사의 행위'로 정의된다. '인정'은 하나의 개념으로 간주하며 위에 서술된 것은 '인정'의 개념적 정의이다.
'인정'은 5가지 형태로 사적이고 구두로 하는 피드백(private verbal feedback), 문서화된 표창(written acknowledgement), 공적인 표창(public acknowledgement), 성장 및 참여를 위한 기여(opportunities for growth and participation) 및 보상으로 구성된다.
간호 관리 중재와 임상간 호중 재의 차이를 살펴보기로 한다.
임상간호중재(clinical nursing intervention)는 '간호사가 환자를 위하여 수행하는 행위' 로 정의된다. '산-염기 관리', '젖은 회붕대 간호', '신생아 간호' 등은 임상간호중재의 예이다. 임상 간호중재인 '산-염기 관리'의 개념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산-염기 균형의 증진 및 산-염기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합병증 예방 산-염기 관리는 많은 간호 활동들을 포함한다(예, 호흡 양상을 모니터한다).
간호 관리 중재는 간호학의 이론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간호 관리 이론은 중범위 이론(middle-range theory)으로 서술될 수 있다. 머톤Merton에 의하면, 중범위 이론은 가설이 경험적 연구에 의해서 논리적으로 추론되고 확증될 수 있는 한정된 가정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간호 관리중재인 ‘인정’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예측인자이다 기본적인 가정을 갖는다. 그러므로 수간호사가 평간호사에게 인정을 해줌으로써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은 경험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쉬 폐 Supp”에 의하면, 간호과학은 거대 이론이 아닌 중범위 이론을 개발함으로써 명확하게 규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 관리 이론의 개념화 과정은 중범위 이론 구축에 도움을 줄 것이다. 간호 관리학의 이론 개발 변천 과정은 타 학문으로부터 유래된 지식으로부터 간호 관리학의 이론적 모델을 거쳐 현재의 간호 관리 중재에 이른다. 간호 관리 중재는 간호 실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아래는 간호관리중재인 인정을 설명한 것이다.--------------------------------------
간호관리중재 : 인정
▸정의: 간호사의 직무 수행 및 성취를 시인하고 평가하는 수간호사의 행위·목적 :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현직에 오래 머물게 하기 위함
▸설명 : 수간호사는 평간호사에게 그들의 직무 수행과 성취에 대해 인정한다. 현저히 우수한 간호사는 가장 많은 인정을 받는다.
인정은 5가지 형태로 주어진다(예, 사적이고 구두로 주는 피드백, 공적인 표창, 문서화된 표창, 성징 및 참여를 위한 기회 및 보상)
▸인정유형
① 수간호사와 평간호사 사이에 일대일 사적인 대화를 갖는다.
② 수간호사는 매일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예, 상황을 잘 다루거나, 환자 간호를 잘하거나,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병동에서 효율적인 운영을 보일 때),
① 수간호사는 평간호사가 수행을 잘한 업무에 관해 동료나 행정가 의사 또는 다른 사람 앞에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② 게시판, 소식지, 병동 파티 등을 이용하여 공적으로 발표한다.
① 수간호사는 평간호사의 업무 수행과 성취에 관해 문서화된 피드백을 제공한다(예, 평간호사와 간호과장에게 평간호사의 탁월한 업무 수행에 관한 편지를 보낸다).
▸성장 및 참여를 위한 기회
① 평간호사에게 병동을 위한 계획에 참여하도록 요청한다.
② 간호사가 행하는 서비스를 서술하는 소책자를 개발하기 위해 시간을 주고 지지해준다.
③ 직업적 성장을 위한 목적을 지지한다.
④ 평간호사를 전문가 연사로 추천한다.
⑤ 특별 프로젝트에 참여할 시간을 준다.
⑥ 동료평가(peer review)를 위한 시간을 준다.
⑦ 정당한 보상을 위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평간호사에게 요청한다.
⑧ 평간호사에게 병원 회의에서 병동을 대표하도록 의뢰한다.
⑨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의뢰한다,
⑩ 환자 간호와 관리에 대해 토의한다.
⑪ 전문성을 발전시키기 위해 격려한다.
⑫ 전국적 행사에 참여하게 한다.
▸보상
① 업무 수행을 탁월하게 수행한 간호사에게는 특별프로젝트를 수행할 자유시간을 준다(예, 하루 휴가를 주고 워크숍(workshop)에 참여하게 참가비를 제공해준다).
▸평가
-평가는 과정과 결과를 다 포함한다.
-과정 : 수간호사 로그(log)
-간호과장의 지휘하에 수간호사는 정기적으로 로그를 보관한다.
-수간호사 스스로 기록한 로그는 임상 감독에 의해 검토된다(예, 중재가 의도된 대로 수행되었는지 검토한다).
-결과: 평간호사는 수간호사에게 받은 인정에 대해 평가지를 작성한다.
-평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률을 분석한다.
출처 : Plunkett, W, R. & Attner R, F.(1998), Introduction to management,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관리] 기획의 원칙 (0) | 2022.07.15 |
---|---|
[간호관리] 기획의 정의와 관련개념 (0) | 2022.07.15 |
[간호관리] 간호관리학의 이론적 모델 (0) | 2022.07.14 |
[간호관리] 체계/상황/카오스 이론 (0) | 2022.07.14 |
[간호관리] 경영관리 이론 (0) | 2022.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