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간호관리] 기획의 원칙

by 그미그미 2022. 7. 15.
반응형

기획에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다. 

① 목적부합의 원칙 
- 기획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과정이므로 반드시 수립된 목적이 있어야 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조직에서 뚜렷한 목적 없는 기획 수립으로 인하여 무엇을 위하여 일하는 것인지 애매한 경우가 많다. 이렇게 막연한 목적하에서는 막연한 기획이 수립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기획을 수행했을 때는 업무의 능률성이 저하되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조직의 목적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할 필요가 있다. 

② 간결성의 원칙
- 기획 과정을 통해 도출된 계획은 간결하고 명료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즉 계획안의 문서화 과정에는 미사어구나 수식어 사용이 불필요하다. 흔히 조직의 목적이 간결하고 명료하게 기술되지 못하면 기획이 복잡해지고 자원 낭비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실상 기획이 확정될 때까지 여러 조직계층의 심의를 거치게 되므로 이런 과정에서 조직의 구성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복잡한 전문용어를 피하고 평이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③ 탄력성의 원칙
- 기획은 수립될 당시의 상황이나 장래 예측에 기초를 두는 것이지만 관리가 행해지는 환경은 극히 유동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획을 수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다시 말해 여러 상황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기획만을 고집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사소한 상황의 변동이 있을 때마다 어느 정도의 기획을 수정 또는 변경한다는 것은 혼란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기획은 당초부터 어느 정도의 유통점이 있게 수립되어야 한다. 기획은 변하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또한 하부 집행 기관이 창의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지녀야 한다.

④ 안정성의 원칙 –예측을 잘해야 한다.
- 기획이 본래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안정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기회일수록 더욱더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다. 기획의 안정성은 수집된 정보의 질과 양 및 예측 기술의 정확성에 달려 있으므로 이러한 면을 강화하면 기획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⑤ 장래 예측의 원칙 –객관적으로 추정하라 (많은 정보가 필요)
- 많은 기획이 흔히 사람들에게 비현실적이거나 너무 이상적으로 보이는 것은 그 기획의 입안자가 진정한 의미의 예측을 못 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장래에 대한 예측은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누구나 이것을 행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그 예측 방법이 의식적인 것과 무의식적인 것, 체계화된 것과 체계화되지 못한 것 등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예측은 장래의 상황에 대한 것이므로 예측 자의 선입견, 주관성 등이 개입되기 마련이다. 예측은 기술적인 어려운 문제이므로 처음에는 많은 실수가 있으나 차츰 경험을 쌓아가면서 좀 더 세련되고 개선되어 예측 기술이 더욱 정교해질 수 있다.

⑥ 포괄성의 원칙
- 기획에는 필요한 제반 요소들이 빠짐없이 포함되어야 한다. 즉 계획안의 수행단계에서 인원, 물자, 설비, 예산의 부족 등으로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포괄적인 영역의 사전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⑦ 균형성의 원칙
- 어떠한 기획이든 그와 관련된 다른 기획이나 업무 사이에 적절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또한 동일한 기획 내에서도 목표와 목표 달성을 위한 소요 자원과의 관계나 제반 중요 요소 간에도 상호균형과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기획과 현장이 따로 놀아서는 안 된다.

⑧ 경제성의 원칙
- 새로운 기획이 수립되면 반드시 새로운 물자 · 인원 · 비용 · 권한 · 조직 등의 자원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경제성의 원칙이란 현재의 사용 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새로운 자원은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⑨ 필요성의 원칙
- 기획은 정당한 이유에 근거할 필요성이 있어야 한다. 기획수립 자체뿐 아니라 기획과정에 이르기까지 불필요한 기획이거나 필요하더라도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기획수립은 불필요하다.

⑩ 계층화의 원칙
- 기획은 일반적이고 추상성이 높은 것부터 시작하여 구체화 과정을 통해 연차적으로 파생시킨다. 이와 같이 하나의 기본 기획으로부터 여러 개의 기획이 파생되는 현상을 기획의 계층화라고 한다. 기본 기획의 실효성은 그것을 지원하는 파생 기획의 건설성에 따라 좌우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