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무수행 평가상의 오류
관리자는 정확한 평가를 위해 평가 시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오류들을 인식하고 오류들이 평가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에 대해 살펴본다.
1) 후광효과
후광효과(halo effect)란 혼효과에 반대되는 개념이며 평가자가 피평가자의 긍정적 인상에 기초하여 평가할 때 어느 특정된 요소를 특출하게 우수하게 판단하고 나머지 다른 평가 요소도 높게 평가받는 경향을 말한다.
2) 혼 효과
혼 효과(horns effect)란 후광효과의 반대로 평가자가 피평가자의 부정적인 면을 보게 되면 긍정적인 면보다 부정적인 면을 지나치게 비판하며 실제 능력보다 더 낮게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비슷한 개념으로 관리자가 완벽주의자인 경우 조직 구성원들의 평가를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는 것도 포함된다.
3) 중심화 경향
중심화 경향(central tendency error)이란 평가자의 평점이 모두 중간치에 집중하는 심리적 경향으로 아주 높은 평가나 아주 낮은 평가를 피하는 경향성을 말한다. 이러한 경향은 평가점수가 모두 평균치에 집중되어 우열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4) 관대화 경향
관대화 경향(leniency tendency)이란 평가자가 대부분의 피평가자에게 좋은 평점을 주는 것이다. 보통 관대한 평가를 하게 되면 수준이 낮은 간호사는 교정 행동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수준 높은 간호사는 혼란이 오므로 싫어하게 된다.
5) 근접 착오
근접 착오(recency error)란 평가 직전에 있었던 최근의 일들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말하며 기억할 수 있는 최근의 실적 행동이나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년 1회 평가받는 경우 12개월 동안이 아닌 최근 2~3개월에 걸친 성적이 반영될 경우 타당도에 어려움이 있다.
6) 선입견에 의한 착오
선입견에 의한 착오(personal bias)란 평가의 요소와 관계가 없이 평가자가 성별, 출신학교, 출신 지방, 종교, 연령 등에 대한 편견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7) 규칙적 착오 또는 총체적 착오
규칙적 착오 또는 총체적 착오(systematic errors)란 평가자가 다른 평가자보다 언제나 후한 점수를 주거나 나쁜 점수를 주는 것을 말한다.
8) 논리적 착오
논리적 착오(logical error)란 2가지 평가 요소 간에 논리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 한 요소가 우수하면 다른 요소도 우수하다고 생각하여 다른 요소들도 쉽게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근면한 직원은 직무수행의 양도 다른 직원들보다 많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이다.
9) 자기확대 효과
자기확대 효과란 관리자나 평가자가 자신의 리더십 유형을 창출하기 위해 직원평가를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2. 직무수행평가 시 주의사항
▸개인평가와 조직 목표를 위한 기준 사이에 적합성이 있어야 한다.
▸평가의 내용은 기대하는 수행표준이나 목표와 관련된 것들이어야 하며 사전에 결정된 것들이어야 한다.
▸행위적 기대는 평가자와 피평가자 서로 합의해서 개발되어야 한다.
▸ᆞ평가자는 평가과정을 이해해야 하고 절차를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피평가자의 직속상관이 일차평가자로서 평가를 담당하여야 한다.
▸평가는 약점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강점에 대한 부분도 포함되어야 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학] 협상 (0) | 2022.10.21 |
---|---|
[관리학] 노사관계관리 (0) | 2022.10.20 |
[간호관리]직무수행능력평가 유형 (0) | 2022.10.05 |
[간호관리]직무수행능력평가 개념 및 목적과 문제점 (0) | 2022.10.04 |
[간호관리] 경력개발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