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자 분류체계의 개념
환자 분류체계란 각 환자에게 요구되는 간호의존도에 따라 간호 시간이나 간호의 양, 간호의 복잡성으로 환자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다시 말하자면 환자의 상태를 간호요구도와 간호 제공에 필요한 간호 시간에 따라 일정한 수준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간호 서비스의 계량 분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환자 간호에 대하여 차등적인 간호 수가를 책정하는데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 분류체계는 간호사 대 환자의 단순비로 추정되었던 종래의 병원 간호인력의 단점을 보완하여 환자들의 다양한 간호 요구에 따라 적정 간호인력을 투입하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도구이다. 가장 효과적인 환자 분류체계는 그것을 사용하는 임상적인 상황에 구체적으로 맞추어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각 병원은 합리적인 간호인력 산정 및 확보에 각 병원의 실정에 맞는 환자 분류체계를 개발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2. 환자 분류체계의 목적
① 환자들의 다양한 간호 요구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 간호인력 산정 및 배치와 병원 표준화 실현에 활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자원의 부족과 비용,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오늘날에 와서는 생산성 감지 기능, 간호 수가 산정, 간호 비용분석, 예산 수립, 간호의 질 평가 등 간호 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보의 원천으로 활용되고 있다.
② 간호조직 또는 간호단위에서 각 환자의 간호 요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이를 근거로 가장 효과적인 할당 및 효율적인 간호사의 근무 시간 배치(scheduling)를 하기 위함이다.
③ 환자 분류체계를 근거로 간호 비용의 차등화를 위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 환자 분류체계의 접근방법과 분류기준
아브델라와 레바인(Abdellah & Levine)에 의하면 환자 분류체계를 위한 접근방법으로 원형평가(prototype analysis evaluation)와 요인평가(factor analysis evaluation)의 2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방법은 임상에서 효율적인 인력산정과 배치를 위해 시도되는 가장 보편적인 환자 분류 방법이기도 하다.
1) 원형평가체계
원형평가체계는 주관적인 것으로서 전형적인 환자의 특성을 문장형식으로 기술하여 기준 삼아 분류하는 것으로 간호의 범주를 분류하여 작성하며 비슷한 특징을 나타내는 환자는 같은 범주에 속하게 하는 방법으로 환자를 3~4개 군으로 나누어 범주별로 간호 요구량을 광범위하게 기술함으로써 각 범주를 대표하는 환자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열거된 간호행위의 유사성에 따라 환자를 순위척도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환자는 이미 제시된 원형에 따라 분류하므로 주관적인 면이 있고 신뢰성에도 한계가 있다.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형적인 환자 간호를 위해 필요한 평균 간호 시간을 결정해야 한다.
2) 요인평가체계
요인평가체계란 객관적으로 환자를 간호해야 함에 있어 특정한 요소나 질병의 위급 정도를 나타내는 요소들을 이용하여 환자를 분류하는 것으로, 직접 간호의 대표적인 지표를 설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하자면 간호의 위급성 요인을 설명하고, 간호에 대한 환자의 간호의존도의 몇 가지 요인을 찾아내어 요인별 간호의존도 점수(하부점수)를 내고, 그 총점으로 환자를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각 요소는 하부요소로 나누어지고, 각 하부요소에 수적인 가치나 비중을 매김으로써 달성해야 할 표준시간을 정해놓는 방법이다. 표준시간은 각 하부요소들에 관해서 결정되어야 하므로 환자를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와 간호사의 행동으로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관리] 모집인력의 선발 (0) | 2022.09.06 |
---|---|
[간호관리] 인력자원의 모집 (0) | 2022.09.06 |
[간호관리]확보관리의 의의와 인적자원계획 (0) | 2022.09.01 |
[간호관리]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0) | 2022.08.30 |
[간호관리] 직무평가(job evaluation) (0) | 2022.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