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획예산제도
기획예산제도(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 PPBS)는 처음에는 정부 기관, 특히 국방성에서 처음 개발 시행되었던 기획 절차 도구였다. PPBS는 1965년에 연방정부에서 필요한 절차로 공식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기획 개발과 소요 자원에 대한 예산편성이 하나로 통합되어서 각각의 활동이 따로 시행되지 않고 동시에 고려되는 특징이 있다.
PPBS의 절차는
① 목표의 구체화
② 목표 달성을 위한 대안의 파악 및 평가
③ 비용의 최소화 혹은 편익의 최대화 순서이며 각 단계는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수행된다. PPBS는 정부 기관에서 널리 사용되고 광범위하다는 의미로 '거시적’ 인 경향이 있다. 체계적인 분석 절차를 통한 기획예산제도는 각 의료기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질의 의료와 연구 및 전문적 교육훈련의 세 가지를 분명한 목표로 설정한 의료기관은 PPBS를 통하여 이 목표들을 프로그램화하고, 각 계획의 비용을 예산에 반영하며, 편익, 지불, 산출의 측면에서 각각의 계획들을 평가한 후 전체 가용 자원의 제약 조건 내에서 그중 얼마를 분배할 수 있다.
2. 예산
자원 예산은 운용 계획을 숫자 형태로 바꾼 것이다. 절차 기획 방법으로서의 예산 편성은 의료 조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장단기 예산, 총괄적 및 부분적 예산, 그리고 변동 및 고정 예산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예산 편성은 행정, 원무, 약국, 의무 기록, 수술실 등과 같은 기능 분야에 따라 작성된다. 각 기능 단위에 소용되는 인력, 자재, 장비 등을 금액으로 표시한다. 예산은 운용 계획으로서 조직의 책임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이나 조직 내의 기능 단위에 필요한 투입 자원을 금액으로 나타낸 것이다.
3. PERT
의료조직에서 작업망의 형태를 지닌 기획 방법은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PERT)와 주 경로 기법이 있다. 2가지 모두 관리자가 여러 가지 활동을 기획하고, 일정 계획을 짜고, 통제하는 대규모의 복잡한 일과성 사업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절차 방법이다.
대규모 프로젝트의 특징은 여러 활동이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다른 활동들과 상호 독립적이어서 특정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건축 계획에서 설계는 공사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한다. 배관작업과 전기공사는 마지막 목공작업과 도장작업 및 장비 설치 전에 완성되어야 할 것이다. 바로 이 단순한 예에서 많은 활동이 계획되고 구체적인 순서로 진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PERT는 미국 해군에서 1950년대 말 폴라리스 미사일 잠수함 건조 사업을 기획해 일정을 짜고 통제할 목적으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는 대규모 사업을 기획하고 일정을 짜며 통제하는 것이다.
PERT는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각 활동의 완성 기간이 매우 불확할 때 적용되는 기법이며 순차적인 각 활동의 완성 소요 시간을 세 가지로 추정한다. 즉 낙관적, 비관적 및 확률적 완성 기대시간을 계산하여 전 프로젝트에 필요한 3가지 다른 시간 소요량을 제시한다. 또 다른 활동 시작 전에 어떤 활동이 완성되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기획에서 작업망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며 완성된 구체적 활동들이 파악되어야 한다. 필요한 장비와 요구되는 인력의 면에서 이러한 활동들이 어떻게 완성될 것인지도 결정하여야 한다. 끝으로 전 사업이 완성될 수 있도록 활동들의 순서 배열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PERT는 한 집단의 여러 사람이 함께 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도움이 된다. 작업망 작성은 모든 사람들이 날짜를 지키게 해주며 문제가 발생하면 곧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작업망 작성을 통한 기획 방법은 인기가 있어 많은 사람이 개인적인 삶에도 활용하고 있다.
4. 주 경로 기법
주 경로 기법(Critical Path Method, CPM)은 경영 분야에서 개발되었으며 활동의 소요 시간과 비용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된 기법이다. 이는 사업 활동과 그 특정 활동의 배열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PERT와 매우 유사하나 활동 완성에 대한 '기대 시간 확률적 결정을 하지 않는다. 주 경로 기법은 한 가지의 추정 시간을 사용한다.
기획자는 주 경로 기법을 사용하여 활동들의 배열을 정한다. 그리고 각 활동의 완성 시간을 추정한다. 한편 정시에 완성되지 않으면 그 활동들이 완성될 때까지 다른 활동들을 시작하지 못해서 전 사업이 지체될 수 있는 활동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을 주 경로(critical path)라고 한다. 그다음에 기획자는
① 일정보다 늦는 활동에 인력 등의 자원을 더 많이 투입할 것인가 혹은
② 작업을 더 많이 투입할 것인가 혹은
③ 작업을 더 빨리 완성할 수 있도록 주어진 활동의 완성 시간을 가속화하도록 초과근무를 실시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작업망 계획의 장점은 기획과 통제 장치로서 매우 유용하다는 점이다. PERT와 주 경로 기법은 진전된 기획을 필요로 한다. 복합적 운영의 모든 활동이 전체적으로 파악되어야 하고, 각 활동의 왕성에 필요한 시간이 추정되어야 하며, 그것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요 인력과 자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바꾸어 말해서 그것은 미래의 예측이고 사건들에 대한 기대이며 의사 결정이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관리] 기획의 유형(운영적) (0) | 2022.07.19 |
---|---|
[간호관리] 기획의 유형 (전략적,전술적) (0) | 2022.07.19 |
[간호관리] 기획의 규칙, 계획안, 과정 (0) | 2022.07.15 |
[간호관리] 기획의 정책과 절차 (0) | 2022.07.15 |
[간호관리] 기획의 철학과 목표 (0) | 2022.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