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기부여
1) 동기부여의 개념 및 기능
동기(motive)란 원래 '움직이다(to move)' 라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의 'movere' 에서 유래되었고, 인간이 그의 행동을 어떤 목적을 지향하도록 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동기부여(motivation)는 개인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도록 해주는 과정이다. 다시 말하면,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된 내적 심리상태로서의 동기를 실제의 목표지향적 행동으로 실천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동기부여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면 크게 4가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심리적 과정이다.
▸내면적 충동에서 시작된 행동과 관련되며 행동을 일으키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루어지고 또한 왜 행동이 일어나는가 하는 원인과 관련된다.
▸목표지향적인 행동과 관련된다.
▸단순한 신체적 움직임만이 아닌 정신적 움직임까지 포함한다.
2) 동기부여의 내용 이론
(1) 욕구단계 이론(Hierarchy of Needs Theory)
머슬로우(Maslow)는 인간에게는 단계를 이루는 5가지 욕구가 존재한다는 논리를 세우고 이러한 일련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동기가 부여된다고 주장하였다.
머슬로우의 주장에는 다음 4가지의 가정이 자리잡고 있다.
(1) 5가지 기본욕구
▸생리적 욕구
삶 자체를 유지하기 위한 기초적인 인간의 욕구로서 의식주에 대한 욕구와 같은 것이다. 조직에서 이들 욕구는 적당한 임금, 휴식 그리고 작업환경 등에 관한 욕구로 표현된다.
▸안전·안정에 대한 욕구
신체적 및 감정적인 위협으로부터 보호되고 안전해지기를 바라는 욕구이다. 조직에서는 작업환경의 안전, 인플레이션에 따른 임금 인상, 직무안정, 생리적 욕구를 보호할 복리후생에 대한 욕구를 포함한다.
▸ 소속감과 애정 욕구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어디에 소속되거나 친교를 나누고 싶은 욕구를 지닌다. 조직에서 이들 욕구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욕구로 표현된다.
▸ 자존 욕구
내적으로 자존과 자율을 성취하려는 욕구 및 외적으로 타인으로부터 주의를 받고 인정을 받으며 집단에서 어떤 지위를 확보하려는 욕구이다. 조직에서는 직위, 업무자체의 완성, 성과급의 증가, 인정, 업무에 있어서의 도전의식, 의사결정의 참여, 승진의 기회 등을 포함한다.
▸ 자아실현 욕구
이는 자신이 이룰 수 있는 것 또는 될 수 있는 것을 성취하려는 욕구로서 계속적인 자기발전을 통하여 성장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자아를 완성하려는 욕구이다. 조직에서는 개인의 기술향상, 창조적 활동, 성공과 승진, 개인에 대한 완전한 통제능력의 소유 등을 포함한다.
2) 4가지 가정
▸일단 만족된 욕구는 더 이상 동기부여 요인이 아니다.
▸인간의 욕구체계는 매우 복잡하다
▸상위수준의 욕구가 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일단 하위수준의 욕구가 우선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하위수준보다는 상위수준의 욕구에 보다 많은 충족방법이 있다.
(2) ERG 이론(ERG Theory, Modified Need Hierarchy)
알데퍼(Aldefer)는 머슬로우의 욕구단계설이 실증조사로 뒷받침 되지 못하자 이 5가지 욕구단계를 3가지로 줄여서 변형된 욕구계층 이론인 ERG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의 ERG 이론은 인간이 하나의 욕구단계를 충족하고자 하는 노력이 끊임없이 좌절되는 만족-진행 과정에서 그들은 더 낮은 욕구단계로 에너지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재지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알데퍼의 모델은 머슬로우의 이론보다 덜 경직되어 있고 욕구란 조정될 수 있음을 제시해준다.
<ERG 이론의 3가지 욕구>
▸존재욕구(E:existence): 배고픔, 목마름, 주거지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생리적, 물질적 욕망들을 의미한다. 조직에서는 임금이나 쾌적한 물리적 작업조건에 대한 욕구가 이 범주에 속한다.
▸관계욕구(R:relatedness): 머슬로우의 소속 및 애정욕구와 유사한 것으로서 조직에서 타인과의 대인관계와 관련된 모든 것들을 포괄한다.
▸성장욕구(G:growth) : 개인적 성장을 위한 개인의 노력과 관련된 모든 욕구들이다. 성장욕구의 충족은 한 개인이 자기 능력을 극대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능력개발을 필요로 하는 일에 종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ERG 이론의 특징>
머슬로우의 욕구단계설이 만족-진행법(satisfaction-progression approach)인데 비해 ERG 이론은 좌절-퇴행(frustration-regression) 요소가 가미되어 있다. 좌절-퇴행이란 고차원의 욕구가 만족되지 않거나 좌절될 때 그보다 낮은 하위욕구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을 말한다. 욕구단계설의 가정인 고차원적 욕구가 행동에 영향력을 미치기 전에 반드시 하위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람에 따라 존재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음에도 관계욕구나 성장욕구를 충족하는 쪽으로 행동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데 욕구단계 이론보다 탄력적이며 욕구구조에 있어 개인적인 차이가 많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학] 동기부여 과정이론 (0) | 2022.10.25 |
---|---|
[관리학] 동기부여 욕구이론 2 (0) | 2022.10.24 |
[관리학] 리더십 (0) | 2022.10.22 |
[관리학] 협상 (0) | 2022.10.21 |
[관리학] 노사관계관리 (0) | 2022.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