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국가검진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국가 검진은 일반검진과 암검진 두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암검진 사업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국가 암 검진은
매년 혹은 2년에 한 번씩 만 20세 이상의 성인은 국가에서 지정한 암 항목들을 검진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항목은 아래를 통해 알아볼게요.
1. 국가 암검진 목적
국가암검진은 질병을 발견하기 전 검진을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원인 1위인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유도함으로써 암의 치료율을 높이고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의학적인 관점에서 암 발생인구의 약 1/3은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경우 완치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 외국의 경우,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하여 암 검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으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경우 90% 이상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암 발생과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하여 의료 접근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소득층에 대한 암 검진사업이 필요하다고 보고 시행한다.

3.검사 대상 및 방법
※ 본인의 주민등록상 태어난 년도를 기준으로 검진주기가 결정됩니다.
(예- 1962년생은 당해연도가 짝수년도 일 때 검진가능
1977년생은 당해년도가 홀수년도 일 때 검진가능)
※ 1년 주기인 검사들은 태어난 년도에 관계없이 검진이 가능합니다!

1) 위암
◆ 대상 : 만 40세 이상의 남녀 (2년마다 1회 실시)
◆ 검진방법 : 위 내시경 검사를 시행. (위내시경을 하기 어려운 경우 위장조영술로 실시함.)
- 어려운 경우는 너무 고령이거나 수면상태를 유지해서는 안 되는 질병 보유자, 약물 복용자 등이 있어요.
2) 간암
◆ 대상 : 만 40세 이상 남녀 간암발생고위험군.
◆ 검진방법 : 간초음파검사 +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 고위험군 기준
1. 간경변증 2.B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 양성 3,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
4.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
3) 대장암
◆ 대상 : 만 50세 이상 남녀 (매년 시행)
◆ 검진방법: 대변을 소량 받아 검진기관에 가져다준 후(분별잠혈검사) 이상 시 대장 내시경 시행.
(대장내시경을 하기 어려운 경우 대장이중조영검사 시행)
※ 분변잠혈검사(대변검사) 채취방법
채변통에 변을 받아서 하는 검사로서, 대변의 3곳 이상을 깊이 찔러서 충분한 양의 분변을 깨끗한 용기 등에 담아
서늘한 곳이나 냉장보관 하셨다가 검진기관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 주의사항
분변잠혈검사(대변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대장내시경 또는 대장이중조영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검사비용을 전액 본인이 부담하셔야 합니다.
(이상소견이 아닌 경우 개인의 기호이기 때문에 검사비용을 본인이 부담하셔야 돼요!)
4) 유방암
◆ 대상 : 만 40세 이상 여성.(2년에 1회 실시)
◆ 검진방법 : 유방 촬영술.
5) 자궁경부암
◆ 대상 : 만 20세 이상 여성.(2년에 1회 실시)
◆ 검진방법 : 자궁경부 세포검사.
6) 폐암
◆ 대상 : 만 54세 이상 만 74세 이하의 남·여 중 폐암 발생 고위험군. (2년에 1회 실시)
◆ 검진방법 : 저선량 흉부 CT
◆ 폐암검진 대상 고위험군 기준
※ 30 갑년 [하루 평균 담배소비량(갑) x흡연기간(년)] 이상의 흡연력을 가진 흡연자
‒ 해당연도 전 2년 내 일반건강검진(생애전환기 건강진단 포함)의 문진표로 흡연력과 현재 흡연 여부가 확인되는 자
‒ 해당연도 전 2년내 건강보험 금연치료 참여자 중 사업참여를 위해 작성하는 문진표로 흡연력이 확인되는 자
※ 폐암 발생 고위험군으로 확인되어 국가폐암검진을 받았던 자는 검진 후 금연을 하더라도 금연 15년 이내,
74세까지 폐암검진 대상자에 포함.
※ 암검진 대상자 중에 건강보험료 부과금액이 하위 50%에 해당하거나 의료급여 수급권자라면 본인 부담금이 없지만
그 외에는 10%의 본인 부담금이 있습니다.
※국가 암검진 지정병원은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건강검진으로 조기에 미리 건강을 챙기도록 만든 좋은 제도를 잘 이용하여
우리 모두 건강해 지기로 해요!
'생활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1일부터 변경된 세관 휴대품 신고서 작성의무 변경! 확인하세요! (0) | 2023.05.03 |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신청방법, 대상자 총 정리 (0) | 2023.03.04 |
댓글